전체 글 (7) 썸네일형 리스트형 MARKDOWN 문법 과 GIT 기초 용어 MarkDown Heading 문서의 제목이나 소제목으로 사용 #의 개수에 따라 대응되는 수준이 있음 ## 글씨 문서의 구조를 위해 작성되며 글자 크기 조절 List 순서가 있는 리스트와 순서가 없는 리스트로 구성 -를 활용하여 작성 Fenced Code block 코드 블록은 backtick 기호 3개를 활용 ``` 특정 언어를 명시하면 Syntax Highlighing 적용 ```python Inline Code block backtick 기호 1개를 인라인에 활용 Inline Code block Link [문자열](url)을 통해 링크를 작성 가능 깃허브 을 통해 이미지 사용 가능 Blockquotes >를 통해 인용문 작성 Table 마크다운 문법 사용법 Heading ## FencedCodebl.. ICT 멘토링 7월 서포터즈 활동 ICT 멘토링 7월 서포터즈 활동을 시작하였다. 나는 카드뉴스 제작에 지원하였지만 영상부분 인원 부족으로 인해 영상 편집 부문으로 변경되었다. ㅜㅜ 평소 카드뉴스, 포스터 제작을 자주 해와서 자신 있는 부분이었지만 영상 편집도 해볼겸 흔쾌히 영상 편집에 도전하였다. 7월 주제는 공모전 홍보와 자유주제 였지만 나는 자유주제로 ICT 멘토링에 관한 정보 전달 영상을 만들기로 하였다. 그래서 ICT 멘토링 활동의 혜택과 종류 얻을 수 있는 점 위주로 영상을 제작하였다. 영상은 미모티콘을 활용하여 영상을 제작하였고 편집기는 빕맥스를 활용하였는데 주요 기능들은 결제라 다른 무료 편집기를 찾아봐야한다.. 논리회귀 (Logistic regression) 논리회귀(Logistic regression) 이란 머신러닝에서 입력값과 범주 사이의 관계를 구하는 것 논리회귀는 선형 회귀를 사용하여 나타나기 힘든 그래프 및 값들을 시그모이드 함수를 활용하여 논리회귀로 더 쉽게 나타낼 수 있다. 실제 많은 자연, 사회현상에서는 특정 변수에 대한 확률값이 선형이 아닌 S 커브 형태를 따르는 경우가 있는데 S-커브 함수로 표현해낸 것이 바로 로지스틱 함수(Logistic function)이다. 딥러닝에서는 시그모이드 함수(Sigmoid function) 라고 한다. 실질적인 계산은 선형회귀와 똑같지만, 출력에 시그모이드 함수를 붙여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가로축을 라벨로 표시하고 세로축을 확률로 표시한 그래프를 확률 분포 그래프라 하고 확률.. 머신러닝과 선형회귀 머신러닝에서 문제를 풀 때 해답을 내는 방법에는 크게 회귀(Regression), 분류(Classification)로 나눌 수 있다. 1.선형 회귀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있을 때 이러한 그래프를 그릴수 있다. 우리는 이 그래프를 보고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임의의 직선 1개로 이 그래프를 비슷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이 선형 모델은 수식으로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직선 = 1차 함수) H(x) = Wx + b 우리는 정확한 시험 점수를 예측하기 위해 우리가 만든 임의의 직선(가설)과 점(정답)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해야한다. (=mean squared error) 여기서 H(x)는 우리가 가정한 직선이고 y 는 정답 포인트라고 했을 때 H(x)와 y의 거리(또는 차의 절대값.. Team Gantt를 활용한 프로젝트 일정 관리 간트차트를 활용하기 위해 간트차트 프로그램을 검색하였고 Team Gantt를 채택하였다. Teamgantt는 사용자가 쉽고 눈에 띄게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 스케줄링에 있어 매우 좋은 옵션이다. TeamGantt를 사용하면 태스크, 시간표, 팀 과제 등 기본 사항을 관리할 수 있다. TeamGantt를 훌륭하게 만드는 것은 프로젝트 관리 사고방식과 철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제품에 확실히 적용했다는 점에서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팀 간트를 활용하여 세부 일정을 관리하였다. 날짜 별로 목표 양을 정하여 설정하였고, 팀원 별 맡은 분야를 책임지고 계획을 설립하였다. 맡은 분야로는 디자인,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데이터 베이스로 나누어 정하였고 1년 프로젝트 일정을 수립하다 보니.. GPS를 활용한 치매노인을 위한 건강관리 앱 제작 프로젝트명 : 위치기반서비스 및 두뇌훈련을 활용한 치매 예측 및 예방 스마트 앱 프로젝트 소개 : 현대사회는 인간 생활의 발전과 향상 그리고 평균수명의 연장 등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노인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달하는 인구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증가와 더불어 만성노인성 질환도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최근에 가장 주목을 받는 질환의 하나가 치매이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738만 명 치매 추정 환자가 75만 명을 넘어섰으며, 전체 추정 치매 유병률은 10.16%를 기록했다. 이와 더불어 치매 증상은 없더라도 기억력이 저하된 70대 노인 128명을 대상으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노인반 수치를 측정하고 이를 걷는 속도와 비교한 결과 이 같은 .. ICT 멘토링 JOB파고 서포터즈 홍보물 제작 현재 참여중인 프로보노 프로젝트에서 JOB파고 ICT 서포터즈를 구하는 카드 홍보물을 제작해봤다. 이전 1 다음